반응형 앨리스의 자유여행 728x90 2161 부산여행: 부산진구에서 추억길을 따라 걸어보자 2017년 6월 부산에서 나고 자란 부산 토박이, 나는 부산의 곳곳을 잘 모른다. 가끔은 외지 분들이 부산은 이런 것이 있다며? 이런 게 맛있다며? 라고 질문을 하지만, 음식은 나도 처음 들어보는 맛집...이라는 곳도 있기도 했다. 예를 들면 관광객들에게 OO돼지국밥이 유명하다는데 나는 처음 들어본 이름. 오히려 내 입에 잘 맞는 돼지국밥집이 따로 있다. 그렇게 외지인들과 나는 비슷한 점이 있기도 하고 차이가 있기도 하고 익숙하기도 하고 낯설기도 하지만 그만큼 부산에는 많은 사람이 여행으로 많이 온다. 오늘의 글은 그것과는 좀 다른, 누구나 핫하다는 그것 말고, 부산에서 나고 자라면서 익숙하게 느꼈던 추억 길을 걸으면서 사진으로 찍어봤다. 1. 굴다리의 추억 나는 부산 서면에서 나고 자랐다. 당시 주택가.. 2017. 6. 28. 부산 여행: 부산 아쿠아리움(SEA LIFE) - 해저의 세계 2017년 6월 2월 이후로 오랜만에 부산 아쿠아리움에 들렀다. 부산 아쿠아리움에서 SEA AT NIGHT라는 멋진 행사가 열렸다고 해서 궁금하기도 하고 그간 바빠서 들르지 못해 해양 생물을 보며 마음의 편안함을 느끼지 못한 것도 해소하기 위해서다 난, 해양 동물만 보면 힐링이 된다. 마침 현충일 날 오전에 갔던 터라 사람들 많았다. 역시 평일 날 왔어야 하는 건데;;; 입장하자마자 VR이라는 게 생겨서 그것 신청하고 입장했다. ▶ 부산 아쿠아리움 저렴하게 입장권 구매하기 ▶ 부산 아쿠아리움 + 다양한 어트랙션 콤보 할인 보러가기 부산 아쿠아리움의 귀요미, 펭귄 내가 제일 좋아하는 펭귄관. 사람들이 많아서 그런지, 딱 그런 시간이어서 그런 것인지 펭귄들이 활발하게 수영하고 놀고 있었다. 몇몇은 사람들 쫓.. 2017. 6. 10. 밀알재단: 아프리카 후원, 희망TV SBS가 함께해요 밀알 재단의 이동 진료 사업 @ 마다가스카르 밀알복지재단에는 이동 진료 사업이 있다. 의료시설이 매우 취약한 곳을 중심으로 정기적으로 방문하면서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사업이다. 특히 밀알 재단의 이동 진료 사업은 "마다가스카르" 지역에 집중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마다가스카르인 주된 지역인 이유는 아주 간단하다. 이곳은 근처에 방문이 쉽운 병원이 없으며, 그러다 보니 아프더라도 약을 처방받기 보다는 무당을 찾아가는 것이 그들이 할 수 있는 전부이기 때문이다. 약 한 알이면 쉽게 치료 되고 완치될 질환도 비위생적이고 위험한 방법을 통해서 그 증상이 더 심해지고 있는 이곳, 밀알복지재단이 집중적으로 이동 진료를 할 수밖에 없는 이유이다. 밀알복지재단의 마다가스카르의 이재훈 지부장님과 스태프들은 .. 2017. 6. 8. 밀알재단, 예준이와 함께 하는 마음이 전해지길 (국내후원) ▶ 예준이 사연 소개 페이지 https://goo.gl/1RJojQ 예상치 못한 교통사고로 예준이는 많은 것이 달라져야 했다. 1톤 트럭에 부딪히는 사고로 6살 평범했던 예준이의 모든 삶이 송두리째 바뀌었다. 불의의 사고로 많은 것이 달라졌다. 예준이는 신체적으로 건강한 아동이었다. 여느 평범한 6살 아이처럼 뛰어놀기도 하고, 부모님과 함께 평범하게 속도를 맞추면서 걸을 수도 있었다. 그러나 6년 전 교통사고로 인해서 뇌병변 1급 장애 판정을 받게 되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애썼던 모든 것들은 늘어가는 병원비와 생활비로 인해 빚으로 변해버렸다. 현재 전셋집까지 정리하고 온 가족이 뿔뿔이 흩어져 있는 상태다. 후천적 장애의 어려움. 태어날 때부터, 그러니까 선천적으로 장애를 가지기도 하지만, 실제 우리나.. 2017. 6. 7. 부산 여행, 서면 전포 카페거리 커피축제 현장! + 아트프리마켓 2017년 5월 부산에서 서면은 부산의 중심지다. 위치적으로 그러하지만, 현재의 부산에서 서면이라는 장소가 차지하는 의미도 매우 크다. 서면에서 가까운 전포동 쪽은 오래전, 기계부품 및 공구상가 밀집 지역이었다. 우리 가족은 오래전에 철물상을 운영했고, 전기기술자였던 아버지를 둔 덕에 나는 그 거리를 자주 드나들곤 했다. (나는 서면에서 나고 자랐다.) 세월이 흐르면서 이런 밀집 지역의 쇠퇴가 뚜렷이 드러났고 어느샌가 그 거리는 뚜렷한 "일"이라는 목적 외에는 잘 가지 않는 곳이 되어버렸다. 그렇게 시간이 많이 흐르고 지금은 전포 거리 = 카페 거리로 전혀 다른 변신을 했다. 아주 모범적으로 "도시 재생"을 잘 이뤄낸 거리가 된 것이다! 여전히 전포동을 걷다 보면 오래전에 장사했던 기계 관련 가계들이 있.. 2017. 6. 7. 밀알재단, 2017년 제 14회 밀알 기부콘서트!(클래식 공연) 벌써 14회를 맞이하게 된 밀알 콘서트를 소개합니다!2004년부터 시작된 밀알 콘서트는 밀알복지재단에서 진행하고 있는 음악회다. 평소 문화생활을 즐기는 것이 어려운 장애인들을 위해서 밀알 콘서트는 장애인 차량 및 식사 활동 보조인 등을 지원하여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구분 없이 누구나 공연을 즐겁고 편리하게 감상할 수 있도록 많은 지원이 이루어지는 콘서트다. 그리고 매년 콘서트 수익금을 통해서 주변의 소외된 이웃들을 위해 사용해왔고, 올해 2017년에는 노인복지주택 건립 사업에 이용될 예정이라고. 이런 멋진 공연이 6월 14일이 펼쳐질 예정인데, 이번에는 어떤 공연이 주제일까?! 클래식과 뮤지컬 위주로 진행되고, 사회는 재능 기부로 주영훈씨가 맡아주기로 했다. 이번 공연은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모두 한 공간에.. 2017. 6. 6. 홍콩 소호에 위치한 좋은 숙소! (센트럴에 위치) 에어비앤비 2017년 3월 나는 지금까지의 홍콩 여행에서 숙소는 항상 홍콩섬이었다. 그것도 주로 완차이, 셩완, 센트럴 지역 위주로. 이유는 간단하다. 내가 가보고 싶어 하는 지역들이 홍콩섬에 주로 몰려있는 편이었고, 홍콩섬이 외국인인 나에게는 생활이 매우 편리했기 때문이다. (내가 길치인 것도 한 몫...) 이번 여행 역시 홍콩섬에 있는 집을 빌렸다. 이 집의 최고 장점은 밤이면 밤마다 시끄러운 번화가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놀랍게도 그 번화가에 정말 조금만 걸어가도 되는 곳에 있다. 그곳은 밤이면 엄청 조용했다. 딱 몇 걸음 차이인데도 완벽하게 조용한 일반 주민들이 지내는 곳이면서도 몇 발자국만 옮기면 바로 번화가였다. 그리고 주변에 로컬 식당이 많다는 것. 단점은 홍콩섬이 대부분이 그렇듯이 일반 주거 지역으로 갈.. 2017. 4. 22. 밀알재단, 우리 같이 정(情)을 쌓아보는 건 어때요? (국내 아동후원) 국내 아동 결연 캠페인 자신을 둘러싼 환경에 속수무책으로 주저앉는 우리 아이들에게 당신의 관심으로 가능성을 높이는 것은 어떨까? 밀알복지재단은 지속적인 도움이 필요한 (다양한 상황의) 국내 아동들에게 후원자를 연결해 주는 후원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밀알복지재단 국내아동결연 캠페인 : http://child2017.miral.org 당신과 함께하는 국내 결연 후원 매월 5만 원의 정기 후원을 통해서 빈곤,장애,희귀성난치질환이라는 상황에 부닥쳐 경제적으로 어려워 치료비가 절실한 아동을 후원할 수 있다. 1명의 아동에게는 총 5명의 후원자가 이어지며 아동이 건강한 삶을 되찾을 수 있도록 5만 원이라는 후원금을 꿈과 희망이라는 선물로 바꾸는 캠페인이다. 결연 후원은 아동의 성장 발달 보고서나 사진 그와 관련.. 2017. 4. 21. 밀알재단, 영유아 장애아동에게 "지금"을 선물하자! [국내후원] 영유아 장애아동 지원캠페인 http://baby.miral.org/ 만인에게 공평하다는 그 시간은 아무리 돈이 많아도 절대 되돌릴 수도 없고 구매할 수도 없다. 그래서 더욱 공평하다. 그런 시간을 늦지 않게만 할 수 있다면 달라지는 것이 무엇이 있을까? 시간은 돈으로 주고 살 수는 없어도 조금만 관심을 끈다면 얼마든지 선물할 수 있다. 어떻게 그게 가능할까? 장애 아동에게 시간을 선물 받는 방법/ 주는 방법장애 아동이 성장기인 0세에서 6세 영유아기 때에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캠페인을 진행한다면 "선물"은 가능하다. 성장기 시기에, 조기에 빠르게 정확한 치료를 받을 수 있다면, 합병증의 문제를 간소화시키고, 인지적 기능이나 신체적 기능 또한 훨씬 더 발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아동이 성장했을.. 2017. 4. 20. 이전 1 ··· 202 203 204 205 206 207 208 ··· 2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