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여행 면세한도 면세점 800달러 상향 조정 변경 & 자진신고 간편화
1. 면세한도 면세범위
2. 헷갈리지 않아야 하는 구매한도 vs 면세한도
3. 기존 면세한도 범위
4. 내국인 해외여행 기존 면세한도 범위 상향 600달러 → 800달러
5. 면세한도 초과 물품 자진신고
호텔&여행 블로거, 러블리 앨리스!
* 문의/ Email: lovely-days@tistory.com
Duty Free Shopping Information
면세점 쇼핑 정보
"면세한도 800달러 상향"
비록 200달러의 차이지만 면세쇼핑 물품 반입시 600달러에서 800달러로 면세한도가 상향 조정되었다. 아주 큰 차이는 아니어도 아주 조금은 그래도 숨통이 트이는 느낌이랄까. 매번 세금을 물지 않기 위해 600달러에 맞추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 부분에 대한 신경을 조금 덜 써도 될 것 같다. 물론 이보다 면세한도 범위가 더욱 크게 늘었다면 좋았겠지만, 그래도 600달러에 비하면 나아졌구나 싶다.
1. 면세한도 면세범위
보통 면세점에서 물건을 사거나, 해외에서 물건을 사서 국내로 세금 없이 반입할 수 있는 기준이 면세한도다. 이 기준범위를 초과하여 면세 물품을 구매하면 초과괸 차액에 대해서 20%의 관세를 납부해야 한다. 물론 초과돤 차액을 자진 신고하면 초과 관세의 30%를 줄여주게 되므로 실제 실효세율 20%가 아닌 14%가 적용된다.
2. 헷갈리지 않아야 하는 구매한도 vs 면세한도
원래 면세쇼핑은 1인당 최대 5천달러까지였으나 이제는 이 기준이 적용되지 않는다. 즉, 면세쇼핑은 금액제한없이 할 수 있다는 의미다. 이를 구매한도라고 한다. 이전에는 5천 달러가 구매한도였지만 지금은 기준이 없어진 것. 하지만 구매한 물품을 국내로 가지고 들어올 때 면세한도 범위까지만 세금 없이 쇼핑한 것으로 인정하고, 면세한도는 넘어선 쇼핑금액은 20%의 세금을 부과한다.
예를 들어 A씨가 6천 달러의 면세쇼핑을 하고
1천 달러 정도는 해외 지인/가족에게 선물
+ 2천 달러 치는 해외에서 소비 후
3천 달러치의 면세물품을 국내 반입한다면
이 중 면세한도 범위는 초과한 금액만큼
20% 세금을 부과한다.
(자진신고 납 세시 부과된 세금을 줄여준다)
3. 기존 면세한도 범위
해외여행 시 내국인이 면세 물건을 가지고 들어올 수 있는 한도는 기존 600달러였다. 물론 이 정도가 큰 금액이 아니다 보니 많은 내국인 여행객들은 해외여행 시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도 많았고 그만큼 불만도 있었다. 보통 면세점에서 물건을 구매하면 자연스레 세금이 제외되다 보니 동일 물건도 훨씬 저렴한 경우가 많고 그러다 보니 자연스레 면세쇼핑 금액도 높아지는 데 그에 비해 내국인 기준 면세한도 범위가 너무 적은 것 아니냐는 말들이 많았던 것.
4. 내국인 해외여행 기존 면세한도 범위 상향
600달러 → 800달러
이제는 개인당 800달러까지 상향 조정하겠다고 기획재정부는 밝혔다. 07월 21일 발표한 '2022년 세제개편안'에서 코로나19로 인한 면세업계의 경영 악화와 국민소득 증가 등 경제적 여건 변화를 고려해 여행자 휴대품 면세한도를 상향하겠다고.
기존 면세한도 범위: 600달러
술과 담배, 향수에는 별도의 면세 한도 적용
↓
달라진 면세한도 범위: 800달러
+ 술 1병(1L·400달러 이하),
담배는 200개비(1보루), 향수는 60㎖ 면세 적용
1인당 휴대품 면세 범위는 주류 2병(2L, 400달러 이하), 담배 200개비, 향수 60mL, 기타 합계 800달러 이하의 물품으로 늘어난다.
200달러의 범위가 더 넓어진 셈. 물론 200달러라고 해도 기존의 600달러에 비하면 범위가 넓어지긴 했지만 여전히 적다고 느끼는 이들이 많다. 확 범위가 늘어난 것은 아니지만 그나마 조금 면세쇼핑 시 숨통이 트인 느낌이 들긴 하다.
5. 면세한도 초과 물품 자진신고
공항에는 자진신고 검사대가 있다. 이곳으로 가면 여권과 면세쇼핑 영수증(택스 리펀 영수증이 있다면 제출)을 제출하자. 이후 초과된 면세한도 범위에 책정되는 세금은 국고수납 대리점이나 은행을 방문해서 납부 가능하며, 인터넷뱅킹/모바일 뱅킹으로도 그리고 가상계좌입금 또는 신용카드로 납부하는 방법이 있다.
기재부에 따르면 앞으로는 자동으로 최저 세액을 산출할 수 있도록 단일간이세율을 폐지하기로 했다. 여행자가 모바일 앱으로 휴대품을 전자 신고하면 최저세액을 자동 산출해 모바일로 고지·수납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여행자는 공항 심사대에서 세관 직원과 만나 세액을 계산하는 대신 QR코드만 찍고 통과한 뒤 사후 납부할 수 있다. 보다 방법이 간편해질 수 있도록 시스템이 바뀐다고 하니 이 부분은 꽤 많은 이들이 좋아하지 않을까 싶다.
이 글이 도움 되었다면
. 티스토리 계정이 있다면 구독 누르기
. 네이버 계정이 있다면 이웃 등록하기
다양한 여행정보/할인 등 계속 업데이트 중!
구독하면 편하게 글 읽을 수 있어요!
호텔&여행 블로거, 러블리 앨리스!
※ 여행 소식을 구독하고 간편하게 확인하세요!
· <앨리스의 여행과 일상> 네이버/티스토리 이웃 등록! / · 다양한 여행 할인&이벤트 카톡 플친 추가! / · 여행기록 테마별로 읽기 카카오 뷰 추가!
'여행 가이드 > 해외 여행정보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세계면세점 블랙멤버십 무료 등록 방법 + 70만원 혜택 4월 이벤트 (0) | 2023.04.10 |
---|---|
코로나 19 영문 백신접종증명서 집에서 간편하게 발급하는 방법 (0) | 2022.12.01 |
항공지연, 결항 유형에 따른 대처방법 정리: 국내선, 국제선 기준 (공정위 근거), EU261 규정 (0) | 2021.11.15 |
각 나라 입국정보 (백신 접종 여부, 자가격리 여부) 한 번에 확인하고 여행가능/ 자가격리 면제국가 확인하기: 마이리얼트립 해외여행스캐너 (1) | 2021.08.28 |
코로나-19 각 나라/도시 입국 시 최신 여행 및 건강 제한 사항, 전 세계 입국가능 여부 한번에 확인하는 방법: sherpa 지도 활용하기 (0) | 2021.08.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