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 일상기록/일상노트

정리하다가 찾은 대학시절 전공노트필기!

by 러블리 앨리스, 호텔&여행 블로거 2016. 10. 3.
728x90
반응형

하루에 하나씩 버리다보면 물건을 찾아보게 되는데, (버릴 물건 없나~?) 그러다가 찾은 대학시절 전공노트다. 몇년 전꺼야;;; 10년은 넘은;;; 그런데 공책을 자세히 보니 참~ 열심히 필기했구나 싶다. 오래된 기억이라 그런지 열심히 공부했던 기억이 없는데, 공책을 보니 왠지 열심히 공부했었던 것 같은 착각을 준다. 공책에 "열 및 통계물리학"이라고 적혀있었다. 통계물리학은 수학을 못하던 저에게는 꽤나 괴로웠던 과목 중 하나였는데......





열 및 통계물리학은 확률과 통계영역이 익숙해야 편리하지만...

저란 여자... 수학과 거리가 쫌 먼 여자 ㅠ0ㅠ 그래서 나는 이 과목이 당시에 매우 어려웠다. 이해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했지만 나의 뇌가 자꾸만 거부하던 기억이......






게다가 대학 물리이상은 (사실 고등물리에서도) 편미분은 필수인데, 뭉퉁그려서 이해하는 게 아니라 개별적인 요소들을 이해해야하는 물리학에서는 늘 고민했던 것 같다. 그러고 내린 결론.

"나... 역시 머리 나쁜사람이었어."






번역본도 있지만, 말 그대로 전공서적의 원본은 영어로 되어있는 원서다. 번역본 보다보면 한국말인데 이해가 안될때가 많다보니 그럴 땐 차라리 원서가 이해하기가 훨씬 쉬웠다. 영어권에서 수학하신 교수님이 대부분인지라, 전공필수의 경우 (전공선택도 마찬가지이지만) 영어로 필기가 이루어집니다.





전공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물리학과는 영어를 못하면 공부가 불가능한 것은 아니어도 불편한 것들이 많았다. 전공을 이해하기 위해서 영상을 찾다가 발견한 괜찮은 영상을 보려면 대부분 번역 안 된 해외 영상들이 많았으니까. 

그리고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같은 것도 해외 대학교에서 만든 경우가 많아서 영어회화가 능숙하지는 않더라도 전공과 관련된 영어는 알아두는 것이 좋다. (당연한 이야기기지만;;;)







지겨운 전공, 어려운 전공에 조금이라도 익숙해지고자, 당시에 색연필로 그림에다가 색칠을 하곤 했다. 그러면 다양한 색상 덕분에 잔뜩 쓰여진 수식이라든지 설명들이 덜 지루하게 느껴졌다. 아직도 기억나는 말 한마디

"네 공책 복사하려면 칼라복사해야 돼 ㅋㅋㅋㅋ"


처음부터 이렇게 색칠했던 것은 아니었다. 우연히 공부잘하는 과 선배의 공책을 본 적이 있었다. 모양자를 활용해서 필요한 설명의 그림을 정확히 그려넣고 색칠도 넣었던 선배언니 공책을 보면서 나도 모르게 탄성을 질렀다. 

"와~! 이거 다 그리신거예요? 어떻게요?"

"이거, 이런 모양자 있으면 그리기가 훨씬 쉬워. 그림이 있어야 이해도 편하고, 한 눈에 들어오고. 공부하기 싫은데 책상에 앉으면 공책도 전공책도 펴기가 싫잖아. 그럴 때면 색연필 들고 색칠해. 색칠하다보면 그림이 눈에 들어오고 그러다보면 눈에 그림이 익숙해지고. 그러다보면 공부할 때 익숙한 모양이나 그림이라서 이해하기가 편하고."

"저도 이렇게 하고 싶은데요, 어디서 자를 살 수 있어요?"

"학용품 가는 데 가서 '모양자' 달라고 하면 다양하게 줄거야."





추가설명은 색깔이 있는 펜으로 쓰곤 했는데, 시간이 오래 흘러서인지, 그 펜들이 이리저리 번졌네.



우스개 소리로(간혹 진심으로) 하는 각 과마다 디스가 있다.

[영문학과] 영문학과는 왜 그렇게 영어를 못 해?

[물리학과] 물리학과는 왜 그렇게 수학을 못 해?

[국어국문학과] 국어국문학과는 왜 그렇게 논술시험을 못 쳐?

ㅋㅋㅋㅋㅋ


물리학과는 수학이 필수다.

대학물리가 아니라, 고등물리에서도 선택으로 물리2를 한다면 무조건 수학 필수다. 수학의 미적분은 말할 것도 없고, 당장 공기저항에 따른 자유낙하물체의 종단속도를 구하려면 자연로그 개념이 필요하다. 그런데 이 과정은 대학이 아닌 고등학교 선택 물리2에 해당하는 내용이니, 대학물리에 가서 과정과 결과를 이해를 하려면 수학이 필수라는 사실을 말한다는 것은, 입아플 정도다. 하긴.. 어차피 물리2가 아닌 1의 개념으로 순간속도를 이해하려면 기본적인 미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나는 수학을 참 안좋아했다. 그런데 물리는 좋아했다. (그게 비극의 시작...이었다.) 자연현상을 이렇게 저렇게 원인과 과정을 설명하는 그게 좋았다. 그래서 물리학과를 왔고, 수학 때문에 무척 애먹었다.







이런 것들이 있었구나... 일 뿐, 다시 봐도 머리아프네. 당시에 이걸 어떻게든 이해하려고 애썼던 것 같다.

가만히 보니 *  Put 이라고 적힌 부분은 "음함수"인 듯.






총 에너지를 3차원으로 보면 등분배 법칙에 의해서 3번의 곱이 나타나는데, 지금 저 페이지가 아마도 등분배 법칙이지 않을까.. 추측만 해보지만 확신은 없다.



오랜만에 찾은 오래된 공책으로 대학시절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었다. 열심히 놀았던 기억밖에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공책 1권으로 꽤나 애썼던 대학시절의 일부를 엿 볼 수 있었다. 이해하려고 애썼고 그래서 머리 나쁜 내가 짜증나기도 했지만, 안되면 외워버리자는 오기로 공부를 하기도 했다. 한 문제를 풀고 이해하기 위해서 2~3시간을 투자해야했던 경우는 허다했고


반가웠네. 내 과거 ^^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